만능재주꾼

깃허브(GitHub)에 코드 올리는 방법 본문

💻 Git,GitHub

깃허브(GitHub)에 코드 올리는 방법

유고랭 2021. 5. 1. 23:33

이젠 진짜 깃허브 사용법을 잊어버리면 안되서 글을 써봤다😎

 

✏️ GitHub에 코드 올리는 방법

1. git init: git 저장소 초기화

2. git add 파일*: 깃허브에 업로드할 코드만 stage에 올리기

3. git commit -m "파일 설명":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기

4. git remote add: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깃허브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5. git push: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커밋을 깃허브에 올리기

 


 

1. git init: 저장소 초기화

임시 디렉토리 temp를 하나 만들어주고 그 곳에 git init을 했다. 

git init을 하면 .git이라는 보이지 않는 파일이 생기는데 github 업로드를 하려면 꼭 해야하는 중요한 파일이다.

초기화를 하고 README.md 파일을 temp에 만들어줬다.

 

2. git add: 깃허브에 업로드할 코드 선택

git add

git add 파일이름만 쓰면된다. 만약 여러 개의 파일을 업로드하고 싶을 경우에는 git add README.md index.html app.js 와 같이 뒤에 파일 이름만 추가해주면 된다.

 

3. git commit -m "파일 설명" : 선택한 파일을 하나의 버전으로 만들어주기

git commit

commit이란, 하나의 버전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git에서 중요한 것이 버전 관리인데 버전 관리에 도움을 주는 기능이다.

원하는 메세지를 적고 commit하면 하나의 버전으로 만들어주기 끝이다.

아래 뜨는 코드들은 master 브랜치로 커밋이 만들어졌고, 1개의 파일이 추가되었는데 그 파일에 2줄의 코드가 삽입된 README.md라는 파일이 만들어진 것을 의미한다.

 

4. git remote add: 선택한 파일을 업로드할 깃허브 주소 알려주기

git remote add

temp라는 저장소를 깃허브에 이미 만들어주어 해당 저장소에 파일을 업로드했다.

 

5. git push: 커밋을 깃허브에 업로드하기

git push

git push를 통해 파일 업로드 완료!

 

6. 깃허브에 업로드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깃허브 업로드 완료!!

뿌-듯하다⭐️

Comments